인사관리는 이직관리를 중심으로 봄. 이직의 의미 (협의/광의)와 결국 이직은 회사가 조까타서 나가는건디, 이 조까틈에 대한 서술은 직무불만족이나, 스트레스, 불공정성 지각, 저성과자 등 다양한 이유로 풀어나갈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. 또한 최적의 이직비용관리 그래프와, 이직비용의 구성 등을 암기했음. 추가로 이슈관리도 보았는데, 노령인적자원관리는 대충 불가피한 현상이고, 노령의 의미 / 역량인적자원관리는 역량이 뭐고 유형이 뭐가 있고 특성이 뭐가 있고 구성요소가 뭔가. 그리고 중요한건 성과주의의 확산 역시 종업원의 역량이 기반되어야 한다는 것을 어필. / 고성과작업집단은 뭐 대충 봄. 베스트 프렉티스가 있음을 전제하고 걍 좋은 제도들 다 때려박으면 되는데, 이를 구성하는..뭔 자본이더라 자본3개 있음

 

행쟁의 경우 내 효자과목인데 이렇게 복기글을 쓰는건 처음인 것 같다. 목차정리와 기본서 회독을 뒤로하고 요즘은 사례집을 보고 있다. 사례집에서 논점의 정리를 써보고, 그 해당 쟁점은 기본서로 다시 가서 공부하고, 그다음 사안 포섭 쓰기. 아 이렇게 얘기하는데 오늘은 별로 그렇지 못한듯 하다. 그냥 쟁점들만 계속 보고 외우고 한듯. 특히 초A급 쟁점인 기속력의 법적성질이 명확하게 나온 판례가 있음을 오늘 확인했다. Case 4개에 문제 각 4개씩이니까 16개정도 쟁점을 본듯 하다. 행쟁은 나온 것만 나온다만..작년처럼 당사자소송 이런거 나올 수도 있으니 문제를 최대한 많이풀고, 논점의 정리와 사안포섭 연습을 해야겠다.

'공부 정리와 복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3월 22일 복기 [노동법]  (0) 2020.03.23
3월 21일 복기 [경영조직론]  (0) 2020.03.21
3월 20일 복기 [행정쟁송법 / 경영조직론]  (0) 2020.03.20
3월 18일 복기 [인사관리]  (0) 2020.03.18
방향설정  (0) 2020.03.18

+ Recent posts